종 목 | 경상남도 기념물 제2호 (창녕군) |
---|---|
명 칭 | 창녕지석묘(昌寧支石墓) |
분 류 |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지석묘 |
수량/면적 | 일원 |
지정(등록)일 | 1974.02.16 |
소 재 지 | 경남 창녕군 장마면 유리 산9 |
시 대 | |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
관리자(관리단체) | 창녕군 |
상 세 문 의 | 경상남도 창녕군 문화관광과 055-530-2236 |
일반설명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지상에 무덤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탁자식과, 땅속에 무덤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세운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린 바둑판식으로 구분된다. 경상남도 창녕시 장마면에 있는 이 고인돌은 바둑판식으로 원래 7기의 고인돌이 북두칠성 모양으로 무리지어 있었는데, 지금은 파괴되어 2기만 남아 있다. 1기는 덮개돌이 있고 그 밑에 평평한 판석을 이용하여 길이 1m, 너비 0.3m의 돌상자 형태로 무덤방을 만들었다. 2기는 덮개돌은 없어졌고 하부구조만 남아있다. 길이 0.67m, 너비 0.27m의 돌상자 형태로 무덤방을 만들고 벽면과 바닥도 정연하게 쌓아 그 위에 2중으로 덮개돌을 올려 놓았다. 이 고인돌은 구릉의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어 구릉 밑이나 평지에 있는 고인돌과는 다른 입지조건을 보여주는 것으로 학술상 가치가 크다. ![]() 창녕지석묘 |
'문화재 > 경남기념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남도 기념물 제6호 남해 상주리 석각 (0) | 2010.09.27 |
---|---|
경상남도 기념물 제5호 창원 외동 지석묘 (0) | 2010.09.25 |
경상남도 기념물 제4호 김해 서상동 지석묘 (0) | 2010.09.25 |
경상남도 기념물 제3호 창녕 계성 고분군 <해제> (0) | 2010.09.25 |
경상남도 기념물 제1호 진주 옥봉 고분군 (0) | 2010.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