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경남유형문화재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47호 진주 단목리 단지 하협종택 소장 고문서

오늘의 쉼터 2010. 8. 29. 15:32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47호
명 칭

진주단목리단지하협종택소장고문서 (晋州丹牧里丹池河悏宗宅所藏古文書)

분 류기록유산 / 전적류/ 필사본/ 사본류
수량/면적

126점

지 정 일

2006.11.02

소 재 지경남 진주시 가좌동 900 경상대학교 도서관 진주대로 501 경상대학교
시 대조선시대
소 유 자용문사
관 리 자용문사

 

설명

 

하협(河悏, 1583~1625)의 종택에 보관되어 있는 옛 문서이다. 하협(河悏)의 숙부인 하진보(河晉寶)는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사간(司諫) 등을 지냈다. 부친인 하위보(河魏寶)는 조식(曺植)의 문인은 아니었으나 그에게 많은 아낌을 받았다고 전해지며, 벼슬에 거의 나서지 않았으나 유림에서 명성이 높아 사후에 이조판서(吏曹判書) 진평군(晋平君)으로 증직되었다. 하위보(河魏寶)의 아들인 하협(河悏)도 진사에 급제했지만 벼슬을 하지 않고 학문에만 정진했으며, 그의 후손들인 하윤관(河潤寬), 하응회(河應會), 하일호(河一浩), 하정근(河貞根) 등도 가학을 계승하여 높은 학문적 성취를 이루었다.
이 문서들은 시권(試券)들을 제외하고는 ‘선적류편(先蹟類編)’과 ‘소록(小錄)’이라는 책자의 형태로 묶여져 있던 것의 일부이다. ‘선적류편(先蹟類編)’은 1943년 하정근(河貞根, 1889∼1973)이 조상이 남긴 유묵, 장갈류, 만사, 제문, 지구서간, 분재기, 호적, 향도장 등 여러 문적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4개의 책자로 묶고 ‘선적류편(先蹟類編)’이라 명명한 것이다. ‘
소록(小錄)’은 1718년경의 ‘장석한 무고사건’의 내력을 간략하게 기록해 놓은 여러 종류의 소록 및 일부 다른 문건을 묶어놓은 것이다.
‘하협(河悏) 종택 소장 고문서’는 선적류편(先蹟類編)에서 추출한 교서초(敎書抄) 1점, 교지류(敎旨類) 2점, 입안(立案) 1점, 관문ㆍ첩류(關文·帖類) 2점, 조흘첩(照訖帖) 1점, 분재기(分財記) 22점, 명문(明文) 2점, 호적(戶籍) 관련 문서 42점, 소지류(所志類) 26점, 품목 1점, 통문(通文) 5점, 단자(單子) 1점, 점연문기(粘連文記) 2점, 선적류편(先蹟類編) 서문(序文) 1점 등 109점, 소록(小錄)에서 추출한 각종 소록 10점, 그리고 시권(試券) 7점 등 총 126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진주단목리단지하협종택소장고문서(선적유편

진주단목리단지하협종택소장고문서(세종대왕 교서)

고문서(고신-교지)

고문서(백패-교지)

고문서(계후입안)

분재기(융경원년)

분재기(융경3년)

분재기(만력3년)

분재기(만력5년)

분재기(만력6년)

분재기(만력8년)

분재기(만력13년)

분재기(만력29년)

분재기(만력29년)

분재기(만력35년)

분재기(만력45년)

분재기(천계원년)

분재기(기축)

분재기(임진년)

분재기(강희12년)

분재기(갑술)

분재기(을해)

분재기(을해)

분재기(정축)

분재기(17세기중반)

분재기(경술)

고문서(명문)

고문서(명문)

준호구(강희11년)

준호구(강희14년)

준호구(강희20년)

준호구(강희23년)

준호구(강희26년)

준호구(강희35년)

준호구(강희38년)

준호구(강희42년)

준호구(강희50년)

준호구(강희53년)

준호구(강희56년)

준호구(옹정원년)

준호구(옹정5년)

준호구(옹정10년)

준호구(건륭4년)

준호구(건륭12년)

준호구(건륭18년)

준호구(건륭21년)

호구단자(갑오식)

호구단자(을묘식)

호구단자(정묘식)

호구단자(기유식)

호구단자(을묘식)

호구단자(신유식)

호구단자(을유식)

호구단자(무자식)

호구단자(경자식)

호구단자(계묘식)

호구단자(병오식)

호구단자(무오식)

호구단자(신유식)

호구단자(갑자식)

호구단자(경오식)

호구단자(병자식)

호구단자(기묘식)

호구단자(임오식)

호구단자(을유식)

호구단자(을묘식)

호구단자(임오식)

호구단자(정유식)

호구단자(기유식)

호구단자(경자식)

고문서(관문)

고문서(조흘첩)

원정(초)-인조년간

원정(초)-인조년간

원정(초)-인조년간

경추(초)-인조년간

소지(임오)


소지(임오)

소지(신사)

소지(신사)

소지(신사)

소지(병인)

고문서(점연문기)

고문서(점연문기)

고문서(통문)

고문서(통문)

고문서(통문)

고문서(통문)

고문서(통문)

고문서(의송-초)

고문서(품목)

고문서(첩)

고문서(단자)

고문서(소록)

고문서(소록)

고문서(소록)

고문서(소록)

고문서(소록)

고문서(소록)

고문서(소록)

고문서(소록)

고문서(소록)

고문서(소록)

고문서(시권)

고문서(시권)

고문서(시권)

고문서(시권)

고문서(시권)

고문서(시권)

고문서(시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