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시도유형문화재 제3호 (북구) |
---|---|
명 칭 | 십신사지석비(十信寺址石碑) |
분 류 |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
수량/면적 | 1기 |
지정(등록)일 | 1986.11.01 |
소 재 지 | 광주 북구 용봉동 1004-4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 |
시 대 | 조선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
관리자(관리단체) |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 |
상 세 문 의 | 광주광역시 북구 문화정보실 062-510-1225 |
일반설명
십신사터에 남아 있던 비로, 1990년 10월 11일 광주시립박물관으로 옮겨 세웠다.
비는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지붕돌을 얹은 형태이다. 거북받침은 거의 사각형에 가까우며 등에는 벌집모양의 육각형 안에 ‘王’자를 새겨 놓았다. 길쭉한 비몸 위에는 목조 건축을 모방한 지붕돌이 약간 파손된 채 놓여 있다. 비몸에는 앞면 윗부분에 ‘범자(梵字:불교문자)’자를 새긴 후 그 아래에 세로로 비문을 새겼는데, 이 때문에 ‘범자비’라고 부르기도 한다. 비문에는 질병을 막고 장수를 기원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거북의 등에 새겨진 ‘王’자는 고려적인 요소로 보이나, 목조건축을 모방한 지붕돌, 형식적으로 변한 거북받침 등을 통해 고려 전통을 이어받은 조선 전기의 작품으로 추측된다. 1978년 2월 보수공사 때 비 끝부분에서 ‘정사년(丁巳年)’이라는 글이 발견되어 조선 세종 19년(1437)에 이 비를 세웠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황해도 해주와 평안북도 용천에 있는 비와 함께 몇 안되는 범자비로서 그 가치가 높다. ![]() |
'문화재 > 광주유형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도유형문화재 제6호 (동구) 전남도청회의실(全南道廳會議室) (0) | 2010.06.28 |
---|---|
시도유형문화재 제5호 (광주동구) 재명석등(在銘石燈) (0) | 2010.06.28 |
시도유형문화재 제4호 (광주서구) 운천사마애여래좌상(雲泉寺磨崖如來坐像 (0) | 2010.06.28 |
시도유형문화재 제2호 (북구) 십신사지석불(十信寺址石佛) (0) | 2010.06.09 |
시도유형문화재 제1호 (동구) 증심사삼층석탑(證心寺三層石塔) (0) | 2010.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