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천년기념물

천연기념물 제154호 함양상림(咸陽上林)

오늘의 쉼터 2010. 1. 12. 18:49

 

 

종 목 천연기념물  제154호
명 칭 함양상림(咸陽上林)
분 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문화역사기념물/ 생활
수량/면적 182,665㎡(지정구역)
지 정 일 1962.12.03
소 재 지 경남 함양군  함양읍 운림리 349-1
시 대
소 유 자 함양군
관 리 자 경남 함양군

 

일반설명

함양상림은 함양읍의 서쪽에 있는 위천(渭川)강가에 있는 숲으로서, 통일신라 진성여왕(재위 887∼897) 때 최치원 선생이 함양읍의 홍수피해를 막기 위해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예전에는 대관림(大館林)이라고 불렀으나 이 숲의 가운데 부분이 홍수로 무너짐에 따라 상림(上林)과 하림(下林)으로 나뉘게 되었다. 현재 하림은 훼손되어 흔적만 남아있고 상림만이 예전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함양상림을 구성하고 있는 식물들로는 갈참나무·졸참나무 등 참나무류와 개서어나무류가 주를 이루며, 왕머루와 칡 등이 얽히어 마치 계곡의 자연 식생을 연상시킨다. 1993년 조사에서 116종류의 식물이 조사되었으며, 현재 20,000여 그루의 나무가 자라고 있다.

함양상림은 사람의 힘으로 조성한 숲으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숲이라는 역사적 가치와 함께 우리 선조들이 홍수의 피해로부터 농경지와 마을을 보호한 지혜를 알 수 있는 문화적 자료로서의 가치도 매우 크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함양읍(咸陽邑)의 서쪽을 흐르고 있는 위천(渭川)가를 따라서 조성(造成)된 호안림(護岸林)이다.

소나무 측백나무 및 노간주나무 등의 나자식물(裸子植物)을 비롯하여 임관(林冠)을 형성(形成)하고 있는 수종(樹種)은 다음과 같다. 갈참나무, 갈졸참, 감나무, 개서어나무, 까치박달나무, 고로쇠나무, 고욤, 굴참나무, 느릅나무, 느티나무, 다릅나무, 떡갈나무, 말채나무, 물갬나무, 물오리나무, 물푸레나무, 밤나무, 벚나무, 잔털벚나무, 상수리나무, 쉬나무, 신나무, 신갈나무, 아까시나무, 야광나무, 은백양, 이팝나무, 왕벚나무, 졸참나무, 좁은단풍, 참느릅, 참오동, 회화나무이고 중간층(中間層)을 차지하고 있는 나무로서는 구지뽕나무, 산뽕나무, 산딸나무, 자귀나무, 사람주나무, 능수버들, 산수유, 쪽동백 등이다.

그리고 작은 관목들은 개암나무, 백동백, 좀깨잎나무, 고광나무, 국수나무, 윤노리나무, 콩배, 조록싸리, 풀싸리, 참싸리, 산초나무, 붉나무, 개옻나무, 고추나무, 화살나무, 회잎나무, 보리수나무, 키버들, 갯버들, 진달래, 노린재, 쥐똥나무, 작살나무, 누리장나무, 병꽃나무, 붉은병꽃, 백당나무 및 덜꿩나무 등 인근지대에서 흔히 자라는 것들이고 멍석딸기, 복분자딸기, 찔레, 칡, 노박덩굴, 새머루, 왕머루, 개머루, 가마귀머루, 담쟁이 덩굴, 인동덩굴, 계요등, 청가시덩굴, 및 청미래덩굴이 여기저기서 엉키어 있다. 박태기 배롱나무 탱자나무 오죽 및 무궁화 등도 가장자리에서 보인다.

함양읍(咸陽邑) 서쪽 위천(渭川)가에 조성(造成)된 호안림(護岸林)이며 총면적(總面積)이 12㏊에 달한다.

신라(新羅) 진성여왕(眞聖女王)때 최고운선생(崔孤雲先生)께서 함양태수(咸陽太守)로 계실 때 조성(造成)하였다. 당시(當時)에는 위천(渭川)의 물이 함양읍의 중앙(中央)을 흐르며 매년(每年) 홍수(洪水)의 해(害)가 심하였다. 태수(太守)께서는 농민(農民)을 동원(動員)하여 강물을 현재의 위치로 돌리고 뚝을 쌓았다. 뚝을 따라 나무를 심고 보호하면서 대관림(大館林)이라고 불렀다.

숲이 무성함에 따라 홍수(洪水)의 해(害)를 피할 수 있었으나 가운데 부분이 황폐됨으로써 상림(上林)과 하림(下林)으로 나뉘어졌다. 상림(上林)은 관에서 조성한 수림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인공림(人工林)의 하나이다. 지금은 함양 근처의 풍치림(風致林)으로서 시민(市民)들의 휴양지로 되어가고 있다.
 
 
 

함양상림

 


함양상림
 

함양상림

 


함양상림
 

함양상림

 


함양상림
 

사운정

 


다볕당
 

군수현감선정비군

 


소하천
 

함양상림

 


함양상림
 

함양상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