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가민속문화재

국가민속문화재 제114호 과천 출토 광주이씨 의복

오늘의 쉼터 2008. 4. 28. 17:31



종     목 국가민속문화재 제114호
명     칭과천출토광주이씨의복(果川出土廣州李氏衣服)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복식공예/ 의복
수량/면적 일괄(20점)
지 정 일 1981.11.29
소 재 지 서울 용산구  한남동 산8
시     대조선시대
소 유 자단국대학교
관 리 자단국대학교

일반설명

경기도 과천시에 있던 광주 이씨(李氏)의 선산 묘지를 서울대공원부지로 조성하기 위해 1979년 4월 이장하던 중 발견한 수의이다.

이 수의의 주인공은 이언웅과 그의 아들인 이집일의 처인 청주 한씨로 시아버지와 며느리의 관계이다. 이언웅의 생몰년은 알 수 없으나 그의 아들과 손자의 생몰년으로 미루어 중종에서 선조 때 사람으로 추정된다.

출토된 유품은 포도동자문단직금대란치마 1점, 소저적삼 2점, 청세면납의직령겹액주음포 1점, 겹유저고리 4점, 겹유직령포 2점, 청면주음포 1점, 겹유적건 1점, 목겹버선 1점, 악수 1점, 명목 2점, 습리 1점, 널이불 1점 등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란치마와 겹유직령포, 직령겹주음포 등의 형태는 매우 특이하며 특히 대란치마에는 포도와 어린 동자가 금실로 짜여져 있어서 일반적인 대란치마에서 볼 수 없는 화려한 문양이다. 이러한 대란치마가 민가에서 나온 것은 청주 한씨가 중종의 계비인 문정왕후의 2녀인 옹주의 손녀였기 때문으로 보이며 매우 화려한 궁중의상이다.

또한 직령겹주음포는 양쪽 허리 밑에 정교하고도 세밀한 주름을 잡아 만든 누비 직령포로서 흔히 보기 어려운 포(袍)이다. 염색이 약간 퇴색되었지만 청색의 고운 면으로 된 누비 포이다.

그외에 겹유저고리와 시신의 손을 싸고 있는 악수의 형태가 특이하다. 겹유저고리는 길이가 각각 80㎝, 75㎝이며, 옆트임도 34㎝, 27㎝나 되기 때문에 조선초에 명나라 양식을 도입한 마고자 모양에 소매가 없는 조끼형태의 단배자가 양반 양식으로 변화되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전문설명


경기도 시흥군 과천면 막계리 소재의 광주이씨(廣州李氏) 선산묘지를 남서울 대공원 부지 조성 관계로 1979년 4월 20일 경에 이장하던 중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수의(壽衣)가 매장된 묘혈에서 출토되었다. 이 수의의 주인공은 광주이씨 이언웅(李彦雄)과 이집일(李執一)의 처 청주 한씨로서 시아버지와 며느리의 관계이다. 이언웅의 생졸년을 알 수 없으나 그의 아들 손자의 생졸년을 보아 중종에서 선조때 사람으로 추정할 수가 있다. 여기서 출토된 유품은 다음과 같다.

① 포도동자문단직금대란주건(葡萄童子紋緞織金大란赤巾)(대란치마)1 점 ② 소저적삼(素紵赤衫) 2 점 ③ 청세면납의직령겹액주음포(靑細綿納衣直領겹腋主音袍) 1 점 ④ 겹유적고리(겹유赤古里) 4 점 ⑤ 겹유직령포(겹유直領袍) 2점 ⑥ 청면주름포(靑綿注音袍) 1점 ⑦ 직면삼회장적고리(織綿三回裝赤古里) 1점 ⑧ 명주목단문삼회장겹저고리 1점 ⑨ 겹유적건(겹유赤巾)1 점 ⑩ 목겹버선 1점 ⑪ 악수(幄手)1 점 ⑫ 명목 2점 ⑬ 습리 1점 ⑭ 널이불 1점 대란치마, 겹유직령포, 직령겹주음포등의 형태는 매우 특이하며, 특히 대란치마에는 포도동자문이 직금되어 있어서, 일반적으로 스란단에 보이는 문양과 비교해 볼 때 매우 특이하다. 이러한 대란치마가 민가에서 나왔다는것은 청주한씨가 중종의 계비 문정왕후의 이녀인 옹주의 손녀였기 때문에 이처럼 화려한 궁중의상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직령겹주음포는 양쪽 허리 밑에 정교하고도 세밀한 주름을 잡아만든 누비직령포로서 흔히 보기 어려운 포이다. 염색이 약간 퇴색이 되었으나 청색의 고운 목면으로 된 누비포로서 세밀하게 명명한다면 청세면납의 직령겹주음포라고 할 수 있다. 그 외에 겹유적고리와 악수의 형태가 특이하다. 겹유적고리는 길이가 각각 80cm, 75cm이며, 옆 트임도 34cm, 27cm나 되기 때문에 조선시대 초기에 명의 제도를 도입한 단배자가 양반 양식으로 전승되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천출토광주이씨의복

포도 동자 문단 직김 대란적건

소저적삼

청세면납의 직령겹액주음포

청세면납의 직령겹액주음포

겹유저고리

겹유저고리

겹유저고리

겹유 직령포

청면주음포

청면주음포

명주 목단문 삼회장겹 저고리

명주 목단문 삼회장겹 저고리

겹유적건

겹유적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