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바위에 앞면을 돌출되게 조각한 마애불(磨崖佛)로 바위 자체를 몸 전체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로 이용하고 있다.
민머리에는 상투 모양의 큼직한 머리(육계)가 있으며, 둥근 얼굴에는 살이 통통하게 올라 온화한 인상을 풍긴다. 어깨는 넓게 떡 벌어져 있고, 팔과 가슴은 넓고 풍만하지만 크기에 비해 어딘지 힘이 빠진 듯한 느낌이다. 왼쪽 어깨를 감싸고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면서 입은 옷은 얇게 신체에 밀착되었는데, 형식적으로 처리된 계단식의 옷주름 때문에 사실성이 떨어진다. 손모양은 오른손을 무릎 위에 올리고 손끝이 땅을 향한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으로 악귀를 물리친다는 의미를 지닌다.
대체로 이 석불은 얼굴이나 얇게 밀착된 옷 등에서 석굴암 본존불 계열의 양식을 이어받은 작품으로 보이지만, 석굴암 불상보다는 사실성이 줄어들고 힘이 빠져 통일신라 후기 불상의 양식을 보여준다.
전문설명 이 불상은 큰 암석에 높게 부조(浮彫)된 마애불(磨崖佛)로서 광배(光背)와 대좌(臺座)는 자연암석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살이 올라 풍만한 얼굴과 넓은 어깨, 결가부좌(結跏趺坐)한 하체가 안정감 있는 자세를 이루고 있다. 둥근 얼굴에 소발(素髮)의 머리와 낮고 펑퍼짐한 육계(肉계), 길게 내려온 귀 등 전체적으로 온화한 인상을 풍기고 있다. 체구 역시 인간적인 모습이지만 형식적인 면이 나타나고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의 손모양이나 우견편단(右肩偏袒)의 법의(法衣) 흐름 등에서는 긴장감이 줄어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모두 통일신라(統一新羅) 말기(末期) 불상(佛像)들의 양식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창녕 송현동 마애여래좌상 창녕 송현동 마애여래좌상 창녕 송현동 마애여래좌상 석불좌상 하반신 양 무릎과 손 모양 창녕 송현동 마애여래좌상 창녕 송현동 마애여래좌상 광배 두광 문앞에서 본 마애여래좌상 석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