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청양군 칠갑산에 자리잡은 장곡사 상대웅전(보물 제162호) 안에 모셔져 있는 철불좌상으로, 나무로 된 광배(光背)를 배경으로 거대한 사각형의 돌로 만든 대좌(臺座) 위에 높직하게 앉아 있다.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아담하게 표현되어 있고, 얼굴은 둥글고 단아한 모습이다. 신체는 건장하고 당당한 편이지만 양감이 풍부하지 않고 탄력적인 부피감도 줄어 들어 9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불상임을 알 수 있다. 오른손은 손끝이 땅을 향하도록 하고 있으며, 무릎 위에 놓인 왼손에는 약항아리가 얹혀 있었다고 하지만 지금은 없다.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만을 감싼 옷은 느슨하게 처리되었고, 옷주름 또한 드문드문 표현되었다.
4각형의 대좌는 불상보다 훨씬 장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상·중·하 3단 형태의 이 대좌는 하대가 넓고 높은 반면에 중대와 상대는 상대적으로 낮고 작은 편이다. 바닥돌은 매우 넓은 편인데, 사방 모서리에 기둥을 세운 흔적이 있어 불상을 모시던 공간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하대에는 엎어 놓은 연꽃무늬를 새기고 각 모서리에는 귀꽃을 큼직하게 조각하였다. 중대의 각면에는 큼직한 눈모양의 안상(眼象)을 새기고, 상대에는 활짝 핀 연꽃무늬를 조각하였다.
광배는 원래 돌로 되었을 것이나 파손되어 조선시대에 나무광배로 대체한 것 같다. 광배 중심부에는 꽃무늬를, 테두리에는 불꽃무늬를 새기고 있어 신라말과 고려초에 유행하던 광배를 모방하여 만든 것으로 여겨진다.
이 불상은 특이한 탑 모양의 대좌와 감실형의 구조, 그리고 단아한 철불양식을 보여주는 9세기 말 양식을 계승한 10세기 초의 뛰어난 불상으로 평가된다.
전문설명
장곡사 상대웅전(上大雄殿 : 보물 제162호)에 봉안되어 있는 신라말 고려초의 철불좌상이다. 전체높이 232㎝, 불상높이 91㎝.
이 불상은 대좌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나, 균형잡힌 당당한 체구와 뚜렷하게 표현된 눈, 코, 입, 귀에서 근엄한 인상을 풍긴다. 법의는 우견편단으로 옷주름이 얕은 윤기선으로 간략한 선묘를 나타내고 있다. 수인(手印)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짓고 있지만, 현재의 손 상태로 보아 후보(後補)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대좌(臺座)는 불상보다 훨씬 뛰어난 조각기술을 보여주고 있다. 상·중·하 3단 형태의 대좌는 하대가 넓고 크고 높은 반면에 중대·하대가 상대적으로 낮고 작은 편이다. 지대석 네 모서리에 기둥을 세운 기둥자리가 있어서 이 상은 원래 목조불감(木造佛龕)안에 봉안되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하대는 1면에 안상 4개씩 새겨져 있고, 복련(覆蓮)의 복판연화문(複瓣蓮花文)이 양감있게 부조되었다. 중대는 세장(細長)하게 보이도록 안상이 두 개씩 새겨져 있다. 상대는 밑면 판안에 화형앙련(花形仰蓮)을 배치하였다. 앙련은 단판연화문(單瓣蓮花文)이지만 3중꽃무늬가 새겨져 있어서 복련연꽃의 특징과 잘 조화되고 있다.
광배는 원래 석조광배였을 것이나 파손되어 조선조때 목조주형광배(木造舟形光背)로 대체한 것 같다. 광배는 테두리에 불신(佛身)주위로 꽃무늬를 새기고 있어 고려초에 유행된 원형광배를 모방하여 조성한 듯 하다.
전체적으로는 특이한 양식에 아름답고 부드러운 조각 수법을 이 대좌는 양질의 순백석질로 더욱 돋보이는 걸작이다.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