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북쪽 소금강산의 백률사에 있던 것을 1930년에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옮겨 놓은 것이며, 전체 높이 1.77m의 서 있는 불상으로 모든 중생의 질병을 고쳐준다는 약사불을 형상화한 것이다.
머리는 신체에 비해 크지 않은 편이며, 둥근 얼굴·긴 눈썹·가는 눈·오똑한 코·작은 입 등에서는 우아한 인상을 풍기고 있지만, 8세기 중엽의 이상적인 부처의 얼굴에 비해 긴장과 탄력이 줄어든 모습이다. 커다란 체구에 비해 어깨는 약간 빈약하게 처리된 느낌이지만 어깨의 굴곡은 신체에 밀착된 옷을 통해 잘 드러나고 있다. 양 어깨를 감싸고 입은 옷은 두 팔에 걸쳐 흘러내리고 있으며 앞가슴에는 치마의 매듭이 보인다. 앞면에는 U자형의 주름을 연속적인 선으로 그리고 있는데 조금은 도식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신체는 아래로 내려갈수록 중후해지며 옷자락들도 무거워 보이는데, 이것은 불쑥 나온 아랫배와 뒤로 젖혀진 상체와 더불어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두 손은 없어졌으나 손목의 위치와 방향으로 보아 오른손은 위로 들어 손바닥을 보이고, 왼손에는 약그릇이나 구슬을 들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소 평면적인 느낌을 주지만 신체의 적절한 비례와 조형기법이 우수하여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26호),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국보 제27호)과 함께 통일신라시대의 3대 금동불상으로 불린다.
전문설명
이 상은 원래 경주의 북산인 소금강산(小金剛山)에 있는 백률사(栢栗寺)에 안치되었던 것으로, 1930년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옮겨 전시하고 있다. 높이 177cm. 등신대(等身大)의 중후한 인상을 풍겨주는 통일신라시대 최대의 채색 금동불상이다.
머리는 신체에 비해서 크지 않은 편으로 인체비례에 가까우며, 둥근 상호(相好)에 긴 눈썹, 가는 눈, 오똑한 코, 작은 입, 양볼의 살, 턱의 군살 등이 우아하게 묘사된 상(像)이다. 가슴은 비교적 넓고 양감(量感)없이 밋밋한 편이지만 어깨의 굴곡은 밀착된 법의(法衣)로 잘 나타나고 있다. 두손은 후보(後補)한 것이어서 정확히 알 수 없지만, 팔의 위치로 보아 시무외인(施無畏印)을 하고 왼손은 수평으로 들어서 약호(藥壺)를 받들었던 듯하다. 통견(通肩)의 법의는 가슴에 U자형 주름을 여러 단 잡았으며, 한단씩 걸려 주름의 선을 가운데에서 끊은 것은 두다리의 윤곽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두팔에서 내려진 옷자락과 발 위에 묘사된 옷자락은 묵중하여 중후하게 보이며 형태적 특징과 함께 이 불상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상(像)의 뒷면에는 구멍이 나 있고, 광배(光背)를 달았던 꼭지가 남아 있다. 조성연대는 800년을 전후한 시기로 추정된다.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두광 약사불1 약사불2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