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천년기념물
천연기념물 제556호 정선 봉양리 쥐라기역암
오늘의 쉼터
2019. 12. 20. 22:28

종 목 | 천연기념물 제556호 |
|
명 칭 | 정선 봉양리 쥐라기역암 (旌善 鳳陽里 쥐라기礫岩) |
|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지질지형 |
|
수량/면적 | 138,668㎡ |
|
지 정 일 | 2019.10.02 |
|
소 재 지 | 강원도 정선군 |
|
시 대 | 시대 |
|
소 유 자 | 정선군 외 |
|
관 리 자 | 정선군 외 |
|
|
일반설명 |
「정선 봉양리 쥐라기역암」은 중생대 쥐라기 시대에 만들어진 암석이다. 한반도의 옛 환경을 이해하는 데에도 매우 유용한 자료이며, 역암 퇴적층의 단면에서는 퇴적환경, 지질, 기후 등의 퇴적학적 특성을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 국내 역암들을 대표할만한 자료이자 표본으로서 가치가 크다. 정선 봉양리 쥐라기 역암은 역(자갈)을 이루는 암석의 종류, 역의 모양과 크기, 고르기 등이 다양하게 관찰되며, 같은 시기에 생성된 우리나라의 역암 중 단연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또한, 흐르는 물과의 마찰 때문에 모양들이 매우 아름답고 도로변에 가까이 분포해 누구나 쉽게 관찰할 수 있어 역암의 야외교과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국내의 대표적인 공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조선 후기의 문인 이명환(1718~1764, 李明煥)의 시문집인 '해악집' 권3에도 정선 쥐라기 역암이 언급되어 있어 역사문화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정선 봉양리 쥐라기역암

쥐라기 역암 원경 
쥐라기 역암 
쥐라기 역암 
쥐라기 역암 |
|